먼저 정서적인 변화를 살펴보면, 슬픔과 상실감으로 인해 서럽고 가라앉은 기분이 지속되며 눈물을 흘리며 우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자신의 잘못에 대한 죄책감과 자책감에 시달릴 수도 있으며, 자신이 무가치하고 인생이 허무하다는 느낌과 더불어 암담한 미래에 대한 절망감이 밀려들기도 합니다. 아동 청소년의 경우에는 분노나 불안하고 과민한 기분이 동반되어 우울과 함께 나타나기도 합니다.
인지적 변화를 살펴보면, 자신이 무능하고 열등하며 무가치한 존재로 여겨지는 자기비하적인 생각을 떨치기 어렵습니다. 타인과 세상은 비정하고 적대적이며 냉혹하다는 생각이 들어 미래가 비관적이고 절망적으로 보며, 인생에 대해 허무주의적인 생각이 증가하여 죽음과 자살에 대한 생각을 자주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평소와 달리 주의집중이 잘되지 않고 기억력이 저하되기도 하며, 판단에도 어려움을 겪게 되어 일에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우유부단한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행동상으로는 활력과 생기가 저하되어 아침에 잘 일어나지 못하고, 쉽게 지치며, 자주 피곤함을 느끼게 됩니다. 대개 수면에 어려움을 겪는데, 흔히 잠들지 못하거나 자주 깨는 불면증으로 나타나거나 반대로 평소보다 많은 시간동안 자게 되는 과다수면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때로는 초조하고 좌불안석하는 불안정한 행동을 나타내기도 하며 심한 경우 자학적인 행동이나 자살시도를 할 수 있습니다.
신체적으로는 식사량의 증가, 감소와 같은 식욕이나 체중 변화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피곤함을 많이 느끼고 활력이 저하되며, 성적인 욕구나 성에 대한 흥미가 감소하기도 합니다. 소화불량이나 두통과 같은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고 건강 상태를 과도하게 걱정하게 되기도 합니다. 면역력 저하로 인해 감기와 같은 전염성 질환에 쉽게 걸리고, 한 번 걸리면 오래 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단순히 기분이 우울하거나 흥미, 즐거움이 없는 정도를 넘어서 최소 2주 이상 기분을 조절할 수 없는 상태이고, 그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워진다면 우울증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우울증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우울증 환자의 70~80%는 호전될 수 있으며, 증상의 지속 기간도 3개월 이내로 짧아질 수 있습니다.
1. 영리적 목적의 사용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2. 저작물에 적용된 디자인의 무단변경을 금지합니다.
3. 본 기관의 저작물의 활용승인을 받은 자가 제3자에게 활용승인을 할 수 없습니다.
본 저작물의 저작권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에 있으며 사전승인 없이 본 저작물에 실린 그림, 사진, 기타 자료를 포함한 제반사항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와 협의 없이 무단전제 및 복제를 금합니다.